728x90 반응형 스마트팩토리 관련주 테마 정리 (feat. SK온) SK온, 미국 25GWH 규모 합작 법인 설립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국내 전기차공장도 '최대 35%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처럼 혜택도 늘어나고, 증설이 계속해서 늘어난다면 수혜를 받을 종목들 또한 많아지겠네요. 전기차 관련하여 계속해서 주목하고 봐줘야할 섹터가 아닐까 생각을 해봅니다. http://sedaily.com/NewsView/29O9X0W5U5 [단독] 국내 전기차공장도 '최대 35% 稅혜택' 준다 정부가 국내 전기자동차 전용 공장에도 반도체 시설 투자처럼 최대 35%의 세액공제 혜택을 준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기아 화... www.sedaily.com 이와 같은 호재 뉴스가 나오면서 스마트팩토리 관련주들이 반응을 했습니다. 정말 바야흐로 전기차 시대네요! 이런 이상형.. 2023. 4. 14. 오늘 시장분석 & 매매 (우진, 대동기어, 휴림로봇, 현대에버다임) 오늘은 시작이 아주 좋았는데, 장 막판으로 갈수록 조금씩 지수가 내려갔습니다. 지난주 미장 폭락도 잘 버티고, 간밤에는 다행히 상승을 하여 마감을 해서 잘 버텼는데 막판에 조금 아쉬운 모습이었습니다. 오늘 강세 테마/종목은? 원전 테마 관련주 어느 때와 마찬가지로(?) 곡물, 육계 그리고 원전이 스타트를 끊었습니다. 원전 뉴스는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정과제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과 차세대 원자력발전소 건립을 위해 영국이 한국과 협상한다는 뉴스와 함께 원전 테마가 초반에 강한 상승이 나왔습니다. 오늘의 대장은 우진. 그리고 관련주로 강하게 오른 종목은 에너토크, 서전기전, 일진파워 등이 있습니다. 로봇 테마 관련주 새 정부 110개 국정과제 중 로봇과 관련된 내용이 부각되면서 상승을 했습니다... 2022. 5. 3. 오늘 시장분석 & 매매 (NPC, 한신기계, 케이씨피드) feat. 휴림로봇 오늘 시장은 좋지도 그렇다고 안 좋지도 않은 그런 시장이었습니다. 어려운 장 속에서도 테마주들 흐름만 잘 파악한다면 늘 승산은 있기 마련입니다! 오늘 강세 테마/종목은? 원전 테마 관련주 원전 뉴스는 끊임없이 정말 계속 나옵니다. 그것도 그럴 것이 글로벌 테마이니 만큼 움직이면 힘이 확실히 실리는듯합니다. 최근 조정을 딛고 다시금 수급이 들어왔습니다. 대표적으로 한신기계, 서전기전, 보성파워텍 등이 있습니다. 원자력 테마 정리 2022.03.10 - [테마 & 섹터 분석] - 원자력 테마, 원전 관련주 feat. SMR(소형 모듈 원자로) 원자력 테마, 원전 관련주 feat. SMR(소형모듈원자로) 탈원전 폐지, 원전 최강국 건설 20대 대통령 당선인 ~ 윤석열 공략중 하나이죠. 이미 선반영되어 많이 오.. 2022. 4. 21. 오늘 시장분석 & 매매 (해성티피씨, 남선알미늄, 오토앤) 3월 마지막 월요일입니다. 지난 금요일 미장은 나름 견조하게 잘 버텨주며 끝났는데, 상하이발 악재가 터졌습니다. 역시나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https://www.news1.kr/articles/?4628949 中 경제수도 상하이 전면봉쇄, 세계경제에도 충격 줄듯(종합)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오미크론의 여파가 상하이를 봉쇄시켜 버렸습니다. 예상대로 우리 시장에도 영향은 있었습니다. 장 초반 고전을 하다, 후반으로 갈수록 회복을 좀 하나 싶더니 막판에 쭉! 빼버렸습니다. 순환매도 빠르고 어지러운 월요일 시장이었습니다. 오늘의 강세 테마는? 리모델링, 가구 인테리어 관련주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 2022. 3. 28. 오늘 시장분석 & 매매 (서암기계공업, 넥슨지티, 소프트센) 롤러코스터, 금요일은 금요일입니다. 순환매도 빠르고, 특정 섹터가 뉴스나 이슈받고 치고 가나 싶다가도 투매가 나오곤 했던 장 같습니다. 그야말로 쉬운 듯 쉽지 않은 시장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988856 [뉴욕마감]나스닥 2% 반등…실업수당 청구 52년래 최저(종합)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미국 뉴욕 증시가 하루 내리고 하루 오르는 양상을 이어갔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에 움츠렸던 증시는 미 경제회복 자신감에 반등했다. ◇실업지표 개선에 증 n.news.naver.com 지난밤 미장은 나스닥 2% 반등하면서 훈풍이 불어줬습니다. 나스닥 2%대 상승에 비하면 우리 시장, 조금은 아쉬울 뿐입니다. http://naver.me/xUEOD.. 2022. 3. 25. 오늘 시장분석 & 매매 (케이카, 메디포스트, 에브리봇) 금요일 우리 시장, 선방했다! 지수 롤러코스터 좀 태우더니 나름 선방했고 마지막은 아름답게 끝냈다. 간밤에 미장이 좋았던 탓일까! 계속해서 우상향으로 가주길 ~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7140000003?section=news 정부, 美와 철강 232조 재협상 대신 조건개선 추진…쿼터이월 등 타진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미국이 한국산 철강의 대미 수출 물량(쿼터) 제한 조치에 대한 재협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가운데 정부도 전... www.yna.co.kr 오늘 우리시장은 예상대로 어제 시외에 강했던 철강 섹터 위주로 강하게 스타트를 끊었다. 하지만 역시는 역시?! 모든 종목들이 윗꼬리를 강하게 달았다. 이런 테마는 아주 보수적으로..!.. 2022. 3. 18. 오늘 시장분석 & 매매 (유진로봇, 엔피, 오픈베이스) feat. 시외 철강 관련주 오늘도 정말 핫 했던 우리 시장! 늘 오늘만 같으면 얼마나 좋을까~ http://naver.me/F8BZ5lHQ 뉴욕증시, FOMC 안도감에 급등...나스닥 3.8%↑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3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3년 만에 금리를 인상했지만 뉴욕증시는 큰 폭으로 올랐다. 기준금리 인상폭이 시장의 예상을 벗어나지 않은 가운데 제롬 파월 연 n.news.naver.com 러시아 디폴트 & FOMC 등 여러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미장이 강하게 상승!! 이대로 계속 쭉쭉쭉 ~ ~ 가즈아 ~ 전쟁 소식은.. https://www.nbn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0956 [종합] 러시아·우크라이나 15개 조항 '잠정' 합의?..."러 요구일뿐" 일축.. 2022. 3. 17. 오늘 시장분석 & 매매 (stx중공업, 하이스틸, 로보로보) https://www.fnnews.com/news/202202230715421413 [속보] 미-러 외교장관 회담 취소 [파이낸셜뉴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www.fnnews.com 간밤에 덜컹~하게 만들었던 뉴스. 참 많이 단련이 된것일까.. 간밤에 악재 뉴스도 떴고, 미장은 시원치않았고 하락을 하는 반면에 우리시장 힘을냈다. 다소 롤코 같기는 했지만 그래도 빨간불로 마무리! 상황이 이렇다보니 변동성이 참 심한 장세긴 하다. 역시나 초반엔 전쟁관련주가 강세를 보였다. 쉬지않고 가는 에너지 .. 지에스이는 주의를 달고도 신경 안쓰고 쭉쭉쭉 ~ 주의 덕분에 대성에너지가 대장으로 등극! 그리고 사료/식량 섹터 강세!! 한일사료, 케이씨피드 미래생명자원등! 끝나지 않은 전쟁 http:.. 2022. 2. 23. 오늘 시장분석 & 매매 (디와이, 퍼스텍, TJ미디어) feat. 코로나19 독감 전환 검토중? 오늘은 그야말로 불금 ~ ! 어제에 이어 나름의 불장! 간밤에 미장이 많이 빠져서 걱정했는데, 장 초반 빠지는듯 하더니 다행히도 금요일임에도 불구하고 반등에 성공! 어제 코스피는 2700을 회복했고, 오늘은 코스닥이 아슬아슬 겨우겨우 900 포인트를 회복하면서 마무리. 여러가지 이슈와 혼돈의 카오스 같았던 섹터들, 장 초반에는 포장지/제지 관련주들이 강력하게 치고 나갔지만.. 언제나처럼? 끝까지 강하지는 못했고, 다시 로봇 테마로 수급이 쏠리나 싶더니 역시나 끝까지 버티지는 못하고 주르르르륵 또 탈모 정책주가 가는듯 싶더니 주르르르륵 ~ 원전도 주루루룩 리비안 뉴스와 함께 에코캡을 선두로 쭈루루룩~ 달리더니 역시나 버티지 못하고 쭈루루루룩 ~ https://www.autodaily.co.kr/news/a.. 2022. 2. 4.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